728x90
300x250
오늘은 공업용 소재 중에서도 금속과 비금속 소재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제조현장에서는 여러가지 공업 재료가 가공되어 쓰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공업재료는 완성되는 제품의 사용 목적과 가공 방법에 알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금속 소재
1> 재료 규격
재료의 특성을 쉽게 확인하거나 비교를 하기 위해서 공업용 소재는 규격화되고 있는데요.
국내에서는 일본의 JIS 규격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답니다.
JIS는 하기와 같이 표기하고 있습니다.
2> 기계적·물리적 성질 용어
재료에 따라 기계적·물리적 성질은 변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카탈로그 등에 특성표가 기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용할때마다 용도에 맞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면서 선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각 기계적·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와 단위입니다.
1. 인장강도(N/mm2)
2. 경도 : 물체의 단단한 정도
3. 전기도전율(% IACS)
4. 열전도율(cal/(cm・s・℃))
5. 선팽창계수(10-6/℃)
비금속 소재
플라스틱, 세라믹과 같은 소재가 대표적인 비금속 소재입니다.
비금속은 금속소재와 비교했을 때 경량이고,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등의 장점을 나타냅니다. 다만 내열온도가 낮고 기계적 강도가 약해 쉽게 변형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래는 금속소재와 비금속 소재의 특성을 비교한 표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공업용 소재 중에서도 금속과 비금속 소재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
LIST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장강도란? 인장강도 설명 및 방법 (0) | 2022.08.04 |
---|---|
널링의 종류와 특징 (0) | 2022.08.04 |
스테인레스, 스테인리스 (STS, SUS) 강의 종류와 특성, 용도 (0) | 2022.08.03 |
커플링이란? 커플링의 종류와 특징 (0) | 2022.08.02 |
PT, NPT, PF 규격표 규격 설명 및 차이점 (0) | 2022.08.01 |
댓글